주식 앱을 열어보면 처음 눈에 들어오는 것이 호가창입니다. 하지만 숫자들이 빽빽하게 나열되어 있어 초보자에게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호가창의 구성, 매수·매도잔량의 의미, 그리고 실전에서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를 쉽게 설명해드립니다.
📌 호가창이란?
호가창은 투자자들이 주식을 얼마에 사고팔고 싶은지를 나타낸 실시간 수요·공급 현황판입니다. 말 그대로 "호가"는 가격을 부른다는 뜻이고, "창"은 창(화면)을 의미합니다.
호가창은 매도 호가와 매수 호가로 나뉘며, 각각 거래를 원하는 가격과 수량을 보여줍니다.
🧾 호가창 구성 요소
- 매도호가: 주식을 팔고자 하는 사람이 제시한 가격
- 매도잔량: 해당 가격에서 팔고자 하는 주식의 수량
- 매수호가: 주식을 사고자 하는 사람이 제시한 가격
- 매수잔량: 해당 가격에서 사고자 하는 주식의 수량
일반적으로 호가창은 위쪽에 매도호가, 아래쪽에 매수호가가 나열되며, 중앙에는 현재가가 표시됩니다.
📉 실전 예시
┌──── 매도호가 ────┐
20,050원 | 1,500주
20,000원 | 3,200주
19,950원 | 2,800주 ← 현재가
19,900원 | 5,000주
19,850원 | 2,300주
└──── 매수호가 ────┘
19,800원 | 4,100주
19,750원 | 2,600주
19,700원 | 3,000주
이 경우 현재가는 19,950원이며, 다음 매수/매도 체결은 이 가격에서 성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🔍 매수잔량 vs 매도잔량 해석
- 매수잔량 > 매도잔량: 사려는 사람이 많음 → 상승 압력
- 매도잔량 > 매수잔량: 팔려는 사람이 많음 → 하락 압력
단순 수량 비교보다는 잔량의 변화 추이가 더 중요합니다. 갑작스런 매도잔량 증가 등은 단기 변동성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.
⏱ 호가 단위란?
주가는 일정 단위로 움직이며 이를 호가 단위라고 합니다. 예를 들어 1만원 미만은 5원 단위, 1만원 이상~5만원 미만은 10원 단위입니다.
주가 구간 | 호가 단위 |
---|---|
1,000원 미만 | 1원 |
1,000원 ~ 5,000원 미만 | 5원 |
5,000원 ~ 10,000원 미만 | 10원 |
10,000원 ~ 50,000원 미만 | 50원 |
50,000원 이상 | 100원 |
🛠 호가창 활용 전략
- 잔량 쏠림 확인: 매수/매도 한쪽에 물량이 몰리면 단기 추세 판단 가능
- 체결 강도 확인: 실시간 체결량과 비교하여 주가 움직임 예측
- 스캘핑·단타 전략: 초단기 거래 시 필수 분석 도구
⚠ 주의사항
- 호가창은 실시간 수급을 보여줄 뿐, 절대적인 매매 근거는 아님
- 허매수/허매도 등 시장 교란 주문에 유의해야 함
마무리하며
호가창은 단순한 가격표가 아닙니다. 투자자들의 심리와 수급 상황을 읽을 수 있는 창이며, 초보자일수록 이 데이터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실전에서 꾸준히 관찰하고 체험해보면 어느 순간 시장의 흐름이 읽히기 시작할 것입니다.
📌 관련 글 추천: